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

[주식초보 1탄] 기본적 용어 설명. PER

728x90
반응형
SMALL

주식을 처음 접하면 막연한 두려움이 엄습한다.

이유는 용어들이 너무 생소하고 무슨 말인지 이해도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주식 초보들을 위한 기본적 용어 1탄. PER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출처 : 네이버 증권

위 사진은 네이버 증권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했을 때 화면이다.

현재 삼성전자 주가가 62,400원인 건 알겠는데 초보라면 밑에 적힌 숫자들은 뭘 의미하는지 모를 것이다.

저 숫자들 중 PER과 추정PER에 대해 설명해보겠다.

 

PER : Price Earing Ratio 의 약자이다. 즉 한 기업의 주가를 그 기업이 작년에 벌어들인 수익으로 나눈 비율이란 뜻이다. (분자 : 주가 / 분모 : 수익)

그래서 보통 분모(수익)는 고정이고 분자(주가)가 움직이면서 PER가 변하게 된다.

(*참고 : EPS 개념은 일단 다음 탄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래서 PER이 엄청 높아지면 '이 주식은 고평가 돼있다.'라고 하고

            PER이 엄청 낮으면 '이 주식은 저평가 돼있다.'라고 한다.

 

자, 그럼 여기서 의문이 들 것이다. 대체 '엄청'의 기준이 뭐란 말인가?

보통 저 '엄청'의 기준은 동일 산업군 주식의 PER과 비교했을 때를 뜻한다.

매우 정확한 비교는 아니지만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와의 PER 비교를 통해 저평가, 고평가를 어느정도는 파악해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또 하나 주의할 점, PER이 높다고 무조건 고평가 or PE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는 아니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의 PER은 990에 달한다. 이를 보면 미친 고평가처럼 보인다.

하지만, 분모를 작년에 번 돈이 아닌 '올 해 벌어들일 수익의 추정치'를 사용하는 '추정 PER' 값은 155로 확 줄어든다.

 

즉, 앞으로 고속 성장을 통해 벌어들일 수익(분모)가 커지게 되면 그만큼 PER는 확확 내려가는 것이다.

그래서 PER이 높은 주식을 성장주 라고도 부른다.

 

반대의 경우도 있다.

PER이 매우 낮아서 저평가된 주식인 줄 알고 매수했다가 거기서 주가가 더 낮아져 손실을 보는 경우도 많다.

그런 주식의 경우 대부분은 기업이 성장이 정체돼있어서 수익(분모)이 더 늘어나지 못하며, 많은 투자자들도 그것을 인지하고 그만큼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서 주가(분자)가 오르지 못해 낮은 PER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나름 쉽게 정리한다고 했는데 이 글을 읽고 '그래서 PER 수치가 높으면 좋다는거야 낮으면 좋다는거야'라고 불만을 가질 분들도 있을 것 같다.

 

그렇다. 정답은 없다.

다만 본인이 주식투자를 할 때 참고해야 할 중요한 지표 중 하나라는 것 만큼은 매우 확실하니 꼭 기억해두길 바란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