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코인 장기투자

[암호화폐정보 6탄] Layer2 폴리곤(MATIC) 글에 앞서 코인과 토큰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자체적인 네트워크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 코인 자체적인 네트워크 생태계가 없고 구축돼있는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다 : 토큰 기존에 말한 이더리움, 에이다, 솔라나, 아발란체, 니어프로토콜 등의 Layer1 프로토콜은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코인'이다. 오늘 소개할 폴리곤은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확장성' 향상을 위해 개발된 Layer2 솔루션 '토큰'이다. 이더리움은 최근 이더리움 2.0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작업증명방식(PoW)에서 지분증명방식(PoS)으로 전환되었으나 트랜잭션 속도, 높은 수수료 문제는 현재 개선되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런 이더리움의 낮은 트랜잭션 속도와 높은 수수료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흔.. 더보기
[암호화폐정보 3탄] 메타버스 코인 장기투자자들에 대한 우려 메타버스의 미래는 올까? 온다면 언제 올 것인가? 메타버스에 미래가 있다고 믿는 선구자적인 느낌으로 메타버스 코인에 투자한 사람들이 꽤 있다. (단순 트레이딩을 말하는게 아니라 인베스팅 관점으로 장기 홀딩하는 분들을 말한다.) 나 또한 메타버스가 미래에 구현되어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과연 그 '미래'의 시점이 언제냐가 투자자 입장에서는 굉장히 중요하다. 10월에 디센트럴랜드와 더샌드박스의 활성 이용자 수가 각각 38명, 522명이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기존에 디샌트럴랜드와 더샌드박스가 홍보한 수치들(디센드럴랜드 하루 평균 8천명 접속, 더샌드박스 가입자 200만명 돌파)와는 너무나도 크게 차이나는 수치이다. 나는 전에 샌드박스 알파3 게임플레이를 유튜브로 본 적이 있고 기사 .. 더보기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