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식초보 3탄] 기본적 용어 설명. PBR 주식 기본적 용어 설명 3탄. PBR에 대해서 알아보자. PBR : Price Book value Ratio 의 약자이다. 즉, 한 기업의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조금 더 쉽게 표현하면 주가가 그 기업의 '장부상 가치'보다 몇 배로 거래되고 있냐는 뜻이다. PBR = 주가 ÷ 주당 순자산 일반적으로 PBR이 높으면 고평가 PBR이 낮으면 저평가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PBR이 1이라고 하면, 그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자산가치만큼만 딱 주가가 반영돼있다는 뜻이다. 자, PBR의 개념에 대해서 이해했다면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1. PBR이 높으면 무조건 고평가인가? 답은 No. 예를들어 테슬라의 PBR은 14가 넘고, 애플의 PBR은 46이 넘는다. 그럼 이 기업들은 고평.. 더보기 [주식초보 1탄] 기본적 용어 설명. PER 주식을 처음 접하면 막연한 두려움이 엄습한다. 이유는 용어들이 너무 생소하고 무슨 말인지 이해도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은 주식 초보들을 위한 기본적 용어 1탄. PER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위 사진은 네이버 증권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했을 때 화면이다. 현재 삼성전자 주가가 62,400원인 건 알겠는데 초보라면 밑에 적힌 숫자들은 뭘 의미하는지 모를 것이다. 저 숫자들 중 PER과 추정PER에 대해 설명해보겠다. PER : Price Earing Ratio 의 약자이다. 즉 한 기업의 주가를 그 기업이 작년에 벌어들인 수익으로 나눈 비율이란 뜻이다. (분자 : 주가 / 분모 : 수익) 그래서 보통 분모(수익)는 고정이고 분자(주가)가 움직이면서 PER가 변하게 된다. (*참고 : EPS 개념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