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투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암호화폐정보 6탄] Layer2 폴리곤(MATIC) 글에 앞서 코인과 토큰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자체적인 네트워크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 코인 자체적인 네트워크 생태계가 없고 구축돼있는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다 : 토큰 기존에 말한 이더리움, 에이다, 솔라나, 아발란체, 니어프로토콜 등의 Layer1 프로토콜은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코인'이다. 오늘 소개할 폴리곤은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확장성' 향상을 위해 개발된 Layer2 솔루션 '토큰'이다. 이더리움은 최근 이더리움 2.0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작업증명방식(PoW)에서 지분증명방식(PoS)으로 전환되었으나 트랜잭션 속도, 높은 수수료 문제는 현재 개선되지 않았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런 이더리움의 낮은 트랜잭션 속도와 높은 수수료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흔.. 더보기 [암호화폐정보 2탄] 레이어 1(Layer 1) 코인 최종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1. 레이어 1 (Layer 1) 네트워크란? 조금 왜곡된 비유이지만 나는 이렇게 설명하고 싶다. 블록체인계의 애플스토어, 구글스토어가 레이어 1 이라고. 무슨말이냐면 현재 애플스토어, 구글스토어에는 수많은 앱(app) 들이 출시되어 있고, 그 앱들을 개발한 회사는 수익을 거두면 애플스토어, 구글스토어에 '수수료'를 내고 나머지는 본인들이 가져간다. 그리고 그 수수료는 애플스토어, 구글스토어의 주인들인 애플과 구글에게 귀속된다. 레이어 1에서는 앱(app) 대신 탈중앙화 앱인 댑(dapp, decentralized app)이 출시되고, 이 댑들이 레이어 1 네트워크에 지불하는 '수수료'를 '가스비(gas fee)'라고 한다. 이 가스비는 레이어 1 별로 어떻게 사용되는지는 다르지만 보통 네트워크를 유지해.. 더보기 이전 1 다음